지회

지회

오늘날 의료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와 최첨단 의료 기술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대한민국이 전세계를 리드하는 몇 안되는 의료기술중 하나가 척추부분이며 그 중심에 우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는 탐구와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2024년 한해 대한민국의 척추부분의 위상을 저의 경험담으로나마 같이 나누고자 합니다.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 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학문적 교류와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의료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환자들의 안전과 빠른 회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이시각에도 헌신하시는 모든 동료 및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대전우리병원 박철웅
17대 코미스 회장

15번에 걸친 2024년의 해외 초청강연

2024년 1월 18일 ~ 21일까지 인도척추외과의사협회 연례회의(ASSICON 2024) - “UBE solutions for severe thoracic myelopathy”,

2월 3일 2024 일본 오사카 척추내시경 학회의 초청을 받아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원들과 척추내시경 수술 심포 지엄 - "Cliniccal experience of TLIF with UBE",

2월 9일부터 10일까지 2024 튀르키예 국제 척추내시경 심포지엄 - Advanced Biportal Endoscopic Technique for Precise Intradural Extramedullary Schwannoma Excision at L3-4과 Comparison of UBE and Uniportal Endoscopic Techniques in Disc Surgery and New Modifications’, UBE for Thoracic OLF와 En Bloc Ligamentum Flavum Removal in UBE Surgery for Spinal Stenosis,

3월 2일 제1회 중국양방향척추내시경학술대회 -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pine Endoscopy and UBE TLIF : A discussion on the procedural advancements을 강연하였는데 발표내용 로는 크게 5개의 쳅터로
  • ➀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pine Endoscopy: A concise overview focusing on uniportal and biportal ESS
  • ② UBE for Thoracic Ossification of the Ligamentum Flavum: Discussing the technique
  • ➂ En Bloc Removal of Ligamentum Flavum with UBE for Severe Spinal Canal Stenosis: Technique and advantages
  • ➃ Intradural Extramedullary Tumor (Schwannoma) Removal with UBE: The surgical approach and clinical experience
  • ➄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UBE: A discussion on the procedural advancements,

3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캐퍼스에서 열린 제3회 2024 미국 척추내시경수술 심포지엄 및 연례회의 - “Dual Portal Contralateral Sublaminar Approach, Special Considerations”,

3월 21일부터 24일까지 2024 아시아태평양 경추연구학회 제14차 연례 총학회 및 제7차 싱가포르 척추학회 연 례회의 - "Biportal Endoscopic Techniques as a Novel Frontier in Degenerative Cervical Spine Treatment", "Step by Step: Biportal En Bloc Removal of Ligamentum Flavum for Spinal Stenosis",

4월 19일 2024 미국 캐롤라이나 신경외과 및 척추학회 - “About removal of Neurinoma via Dual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와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Decompression for Thoracic Spinal Stenosis Caused by Ossification of the Ligamentum Flavum”,

5월 15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2024 태국 국제 척추 회의(Global Spine Congress 2024, Bangkok, Thailand) - “Advanced biportal endoscopic techniques for complete spinal schwannoma removval : a clinical odyssey”, “Expandables - is it fad or the future?”, “Early Experience of TLIF using expandable cage & rhBMP-2 through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6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홍콩에서 열린 2024 제4회 아시아 - 태평양 최소침습척추학회(SMISS Asis / Pacific Meeting) - “Clinical experience and comparison of expandable versus large PEEK Cages in Biportal Endoscopic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7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2024 제15회 아시아 척추 연례 회의 및 제23회 대만 신경외과 척추학회 연례회의 : Incorporating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UBE) into My Practice: A Shift from Uniportal to Predominantly UBE Techniques“,

7월 25일부터 27일까지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2024 제9회 동남아시아국가연합 미세침습 척추학술대회 - “Clinical and radiographic analysis of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 with autograft versus expandable cage with BMP2 in UBE fusion for lumbar spondylolisthesis. Technical consideration with prelimenary results”,

8월 28일부터 31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제12회 인도 AIIMS(All Indi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연례 척추워크숍
  • 1일차 : 28일
    • ➀ Lumbar endoscopic discectomy and decompression - UBE Technique
    • ➁ Endoscopic discectomy and decompression - UBE / Biportal System
    • ➂ 카데바 워크샵

  • 2일차 : 29일
    • ➃ Live Surgery
    • ➄ Transition of degenerative lumbar spine surgical management from Uniportal to Biportal technique)
    • ➅ UBE fusion using OLIF cages 3일차: 30일
    • ➆ Live Surgery
    • ➇ UBE technique for cervical foraminotimy
    • ➈ Intradural tumor removal by UBE
    • ➉ UBE TLIF using expanable cage ,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4일간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 NASS 2024 - "Bi-portal Endoscopic TLIF with Expandable cage & rhBMP-2(putty carrier)" ,

11월 15일 ~ 16일 네팔 카트만두 ASSNCON 2024 히말라야 척추 심포지움 - "Biportal Endoscopic Discectomy“, ""Endoscopic TLIF: techniques, tips and tricks”,

12월 13일부터 14일까지 2024 대만최소침습척추내시경학술대회 및 연례회의 - “Challenges in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from the perspective of a right handed surgeon and solutions”까지 미국 3 회, 인도 2회, 대만 2회, 중국2회, 일본, 튀르키예, 중국,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네팔까지 총 15회에 걸쳐 해외 강연을 하였습니다.

인도 초청 강연 사진

튀르키예 초청강연 사진

베트남 초청 강연 사진

전세계가 주목하고 배우고 싶어하는 내시경척추수술

제가 집도한 25,000례 이상의 수술경험을 통해 미국, 호주, 유럽 등지의 국제 척추학회에서 수차례 초청강연을 하고 국제척추수술교과서를 세계최초로 집필하여 척추수술을 집도하는 외과의사라면 새로운 수술법을 배우고 싶어 하기 때문이며 최근 미국에서도 양방향척추내시경수술이 협착증과 디스크수술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어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먼저 연수를 다녀갔던 의사들이 자국의 학회를 이끌게 되면서 척추내시경수술을 소개하고 추천을 하였습니다.

앞에 먼저 말씀 드렸지만 3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캠퍼스에서 열린 제3회 2024 미국 척추내시경 수술 심포지엄 및 연례회의 양방향척추내시경의 세계 최고의 권위자로 초정을 받았는데 이번 학회의 좌장이며 현 재 미국 내 양방향척추내시경수술을 이끌고 있는 UCLA 대학병원 Dr. Don Park 교수는 2021년, 2022년 2차례에 걸쳐 연수를 다녀갔으며 2022년 뉴 잉글랜드 침례병원 터프츠 대학교 의과대학 Brian Kwon 교수도 저에게 연수를 받았습니다. 2월 9일부터 10일까지 튀르키예 부르사에서 개최된 2024 튀르키예 국제 척추내시경 심포지 엄은 2018년 연수를 다녀갔던 하야디 아이군(Hayati Aygün)이 튀르키예 척추내시경 학회를 이끌고 있으며 이 들은 각 나라에서 정상급 척추전문의로 의료기술을 이끌고 있습니다.

미국 의료진에게 카데바 워크숍을 통한 내시경 수술방법 설명

그리고 4월 19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위치한 캐롤라이나대학 메디컬센터에서 열린 미국 캐롤라이나 신경외과 및 척추학회 양방향척추내시경세미나 부분 척추내시경수술의 세계 최고의 권위자 자격으로 초정을 받 았는데 이 학회는 미국의 병원 체인인 아트리움 헬스와 공동 개최를 하였습니다. 아트리움 헬스는 캐롤라이나스 헬스케어 시스템(Carolinas HealthCare System)의 후신으로, 미국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약 40개 병원과 900개 건강 센터를 통해 다양한 건강 및 웰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어 미국에서 두 번째 끈 병 원 그룹으로 미국 내 척추치료방법의 일대 혁신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척추치료방법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안전하고 빠른회복이라는 장점과 병변의 확실한 제거는 현존하는 최고의 치료방법이라는 점이라는 것이고 대한민국이 그 정점에 있으며 이 치료법을 연구 하여 발전시킨 대한민국의 척추전문의들이 전세계 최고라는 것입니다.
의료선진국에서 더 열광하는 대한민국의 내시경척추수술

우선 우리가 아는 의료선진국 미국에서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국가의료체계가 아닌 사보험으로 의료체계가 구성되어 있는데 신기술 보다는 전통적이고 가장 치료성공률이 보장된 방법의 통계를 바탕으로 치료방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직까지도 크게 절개하고 현미경을 통해 환부를 확대하여 치료하는 수술법을 보험회사에서 인 정하고 치료비를 지급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국제학회나 유명한 학술지, 저널에 발표된 양방향내시경의 수술방법이 더 작은 상처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며 작은 상처로 인한 빠른 회복과 감염에 대한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눈여겨보고 종주국인 대한민국을 찾았으며 이때 연수를 받은 의사들이 실제 미국 현지에서 시행해본 결과 우수한 치료성공률과 안전성을 정리하여 발표하기 시작하면서 미국 척추치료부분에서 척추치료계의 신세계를 열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 아트리움 헬스社 앞 회사 관계자와의 학술발표 후 사진

전세계 척추인들을 대한민국의 중심 대전으로

12월 6일부터 8일까지 2024 국제최소침습척추학회 및 제23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연례회의와 카데바워크샵 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라는 주제로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개최하였습니다. 7개국 32명의 해외각국의 저명한 척추명의들의 강연과 함께 300여명의 척추전문의들이 참석 예정으로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가 주관하고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척추내시경수술연구회, 세계양방향척추내시경수술연구회가 주최하고 아시아–태평 양 최소침습척추학회, 세계양방향척추내시경수술연구회가 협력하며 대전관광공사와 인천테크노파크가 후원하는 국제행사로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등 7개국에서 초청받은 척추권위자들의 강연과 연 구결과를 공유하였습니다.

보통 국제 학회는 서울에서 개최되나 대전은 동북아시아의 R&D허브로 카이스트 및 70개 이상의 연구기관과 2만 명 이상의 연구원이 과학클러스터이며 아시아의 실리콘벨리이고 이 행사를 통해 대전을 찾는 외국인 의사들에게 대전의료관광까지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판단되었으며 척추내시경수술이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재편되어 대한민국이 리드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국제행사를 유치하였습니다.

인도 학회를 위해 입국한 박철웅 원장을 환영하는 인도 펠로우쉽 의사들

인류의 질환 척추통증을 함께 극복

의사가 되기 위해 필수적 로 히포크라테스선서를 낭독합니다.

히포크라테스선서에 보면 “나는 이 선서와 계약을 지킬것이니, 나에게 이 의술을 가르쳐준 자를 나의 부모님 로 생각하겠으며, 나의 모든것을 그와 나누겠으며, 필요하다면 그의 일을 덜어주겠노라. 동등한 지위에 있을 그의 자 손을 나의 형제처럼 여기겠으며 그들이 원한다면 조건이나 보수없이 그들에게 이 기술을 가르치겠노라. 교훈이나 강의 다른 모든 교육방법을 써서라도...‘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즉 내가 가진 모든 의학적 지식을 원하는 의사들에게 조건 없이 나누고 가르치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환자의 건강 과 생명을 위해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어느 국가의 환자든 건강과 생명을 소중히 하고 지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환자의 생명이 소중하듯 미국인의 생명도 소중하며 연수를 다녀간 18개국 모두의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소중 하고 더 빠르고 안전한 치료방법 로 치료하자는 의사로써의 의무감입니다. 그래서 어떠한 비용도 받지 않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원들의 단체 사진

나의 모든 지식과 경험을 정리하며

6년전 Advanced Techniques of Endoscopic Lumbar Spine Surgery (고급 요추 내시경 수술 기법)을 시 작 로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일측형 양방향 척추 내시경), Advanced Techniques of Endoscopic Cervical and Thoracic Spine Surgery (고급 경추 및 흉추 내시경 수술 기법)에 이르기까지 경추, 흉추, 요추를 아우르는 세계 최초로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법 가이드북을 집대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출간된 교과서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태동부터 발전에 이르기까지 모든 내용이 수록된 집합체로써 지금까지 척추내시경 수술의 연구와 임상 경험을 정리하여 세계 어디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교과서이며 척추내 시경을 처음 접하는 의사들도 보기 쉽도록 만들어져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조금 덧붙이자면 이 책에 특징은 양방향 내시경 척추수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수술기구의 테이블 세팅을 시작으로 수술기법의 가장 기본단계부터 가장 고난의도 기법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사진과 설명이 되어 있으며 수술 전, 수술과정, 수술 후 까지 자세한 설명과 부록으로 수록된 영상을 통해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을 처음 접 하는 의사부터 내시경 척추수술을 능숙하게 하던 의사까지 볼 수 있게 구성이 되었습니다.

척추 내시경수술에 대한 자세한 수술방법과 단방향 내시경수술, 양방향 내시경 수술 등 다양한 수술방법을 포함하 여 설명하며 광범위한 임상데이터를 정리하여 척추수술을 시작하는 의사들에게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태국의료진 대전우리병원 수술참관 방문

2025년에는 2024년보다 더 열심히

저의 직업은 의사입니다.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의사들의 목표는 모두 같을 것입니다. 저와 같은 신경외과 의사는 어떻게 하면 현재의 관절 손상시키지 않고 최대한 보존 하며 신경을 압박하는 병변은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최대한 제거할 것인가? 변형된 척추를 최대한 정상에 가깝게 호전 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평생의 고민입니다.

30년간 여러 스텝들과 연구하고 수많은 임상을 겪으면서 축적된 노하우는 나만의 재산이 아닌 학술대회나 교과서 편찬 등을 통해 공유하면서 목, 등, 허리 통증으로 고통 받는 모든 인류에게 안전하고 빠른 회복으로 일상으로 복귀를 도와주는 것이 목표입니다.

독자 여러분께 2025년도 건강한 한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