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JMISST

  • HOME
  • LOGIN
  • SIGN UP
  • LOGIN
  • SIGN UP
  • 학회소개
    komiss

    학회소개

    • 회장 인사말
    • 연혁
    • 임원진
    • 위원회
    • 분과 학회 및 연구회
    • 지회
    • 회칙
    • 공지사항
  • 학술대회
    komiss

    학술대회

    • 정기 학술대회
    • 일정
    • 행사 사진첩
    • KOMISS Beyond Korea
  • 저널
    komiss

    저널

    • 열람
    • 투고
  • 커뮤니티
    komiss

    커뮤니티

    • 확대상임이사 회의록
    • 자료실
    • KOMISS Member
  • 관련사이트
    komiss

    관련사이트

    • 관련사이트
  • 멤버쉽
    komiss

    멤버쉽

    • 회원 가입 안내
    • 회원 정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MY PAGE
    komiss

    MY PAGE

    • 개인정보 수정
    • 비밀번호 변경
    • 나의 회비납부 현황
    • 회원탈퇴

 

 

 

 

Korean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ociety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prev

01 / 06

next
prev next

학회 소식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의 다양한 소식을
확인해주세요.

  • 학회 공지사항
  • 웹진

2025.03.27

2025 KOMISS Advanced Spinal Course Symposium & Cadaver Workshop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2025.03.27

2025년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연구비 지원 사업 공고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2025.03.25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개편 홈페이지 오픈 및 로그인 안내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2024.04.08

ISASS AP 2024 인도네시아-욕야카르타 학회 안내

KOMISS

2024.04.02

[KOMISS] 2024 KOMISS Advanced Spinal Course Symposium & Cadaver Workshop 안내

KOMISS

prev next

2025.08.11

Web of KOMISS 2nd. 2025

2025.08.11

Web of KOMISS 1st. 2025

2024.01.17

Web of KOMISS 6th. 2023

2023.11.20

Web of KOMISS 5th. 2023

2023.09.12

Web of KOMISS 4th. 2023

2023.04.13

Web of KOMISS 2nd. 2023

2023.02.09

Web of KOMISS 1st. 2023

2022.11.22

Web of KOMISS 6th. 2022

2022.09.16

Web of KOMISS 5th. 2022

2022.09.15

Web of KOMISS 4th. 2022

2022.03.11

Web of KOMISS 2nd. 2022

2022.01.05

Web of KOMISS 1st. 2022

2021.10.18

Web of KOMISS 4th. 2021

2021.07.20

Web of KOMISS 3rd. 2021

2021.04.27

Web of KOMISS. 2nd. 2021

prev next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

JMISST HOME
prev JMISST HOME next
Original Article

The Surgical and Functional Outcomes of Biportal Posterolateral Endoscopic Lumbar Interbody ...

Published online: July 31, 2025

Original Article

A Retrospective Radiographic Analysis of Cervical Sagittal Alignment After Posterior C1?2 ...

Published online: July 31, 2025

Original Article

Comparison of the Vertebral Kyphotic Angle and Vertebral Body Height Ratio With and Without ...

Published online: July 31, 2025

Original Article

Predicting the Medial Angulation of the Jamshidi Needle Based on Trigonometric Calculation ...

Published online: July 31, 2025

  • 2024 KOMISS Advanced Spinal Course Symposium & Cadaver Workshop

    학술대회 영상 다시 보기 →
  • How to learn minimally invasive surgery in KOMISS, South Korea

    자세히 보기 →
  • Operation video of KOMISS members

  • KOMISS Spine Courses
    - The best in the world spine education!

    자세히 보기 →
엑센더
티센
GS Medical
위더스제약
혁신의료기기스파인
박스터
엑센더
티센
GS Medical
위더스제약
혁신의료기기스파인
박스터
엑센더
티센
GS Medical
위더스제약
혁신의료기기스파인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 개인정보 취급 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KOREAN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6631]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350 (서초동 1678-2) 동아빌라트 2타운 407호
  • TEL : 02-585-5455FAX : 02-523-6812E-mail : komisskomiss@gmail.com
  • 사업자등록번호: 315-82-75603대표자명: 김종태

KOREAN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OCIETY ALL RIGHTS RESERVED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개편 홈페이지 오픈 및 로그인 안내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오늘하루 그만보기]

척추 급여 기준 변경사항

척추 급여 기준 변경사항 

KOMISS 보험이사 이동근

1. 관혈적 추간판 제거술 – 2021.6.1. 고시기준 유지

추간판탈출증은 배부 동통 및 방사통을 동반한 질환으로 많은 경우 일정기간 경과 시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점을 고려하여야 하며, 자49가 관혈적 추간판제거술은 추간판탈출에 의한 신경 또는 척수압박이 영상검사에서 확인되고,

진료기록에서 관련 증상 및 징후가 확인된 환자 중 다음의 경우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가. 4~6주 이상의 보존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고 일상 생활에 제한이 심한 경우

나. 아래의 1)~5)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인정함

- 아 래 -

1) 마미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

2) 근력등급 4- 이하의 근력저하

3) 척수병증(Myelopathy)

4) 진행되는 신경학적 결손(Neurologic Deficit)

5) 적극적인 통증치료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VAS 7 이상의 참기 힘든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

 

2. 내시경 추간판 제거술 (요추) (2025.01.01. 시행) 

1. 요추부의 자49나 내시경하추간판제거술은 수술 전 4~6주 이상의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방사통이 지속되는 환자에서 추간판탈출로 인한 신경근 압박 소견이 확인되는 경우에 인정함. 

 

2. 다만, 다음의 가.~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인정함.

                                         - 다   음 -

 가. 마미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

 나. 근력등급 4- 이하의 근력저하

 다. 진행되는 신경학적 결손(Neurologic Deficit)

 라. 적극적인 통증치료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시각 통증 등급(Visual Analogue Scale, VAS) 7 이상의 참기 힘든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

 

3. 상기 1., 2.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금기증에 해당되므로 인정하지 아니함.

 

                                           - 아   래 -

 가. 불안정성이 동반된 경우

 나. 전방전위증이 동반된 경우

 

: 관혈적 추간판 제거술 고시기준 준용 (조기수술 기준 포함이나 조기수술 기준 중 myelopathy는     빠짐)

■ 내시경하 척추후궁절제술의 수가 산정방법

: 내시경하 척추후궁절제술은 ‘자49나 추간판제거술[척추후궁절제술 포함]-내시경하’로 준용 산정함.

** 수가 :  척추 내시경하 후궁 절제술의 수가는 내시경 추간판 제거술의 수가와 급여기준에 준용함

 1) 요추 내시경 수술의 금기증

   (1) 불안정증, 전방 전위증 ➞ 유지

   (2) 신경공 협착증, 동일 경로 재수술 ➞ 삭제 (내시경으로  foraminal stenosis, recurrent HIVD 가능해짐)

 2) 경추–척추 내시경 수술 – 현재의 고시기준 유지(추후 재논의 여지는 열어둠) 

 

3. 척추 유합술 – 고정기기를 이용한 자46 척추고정술의 급여기준 (2025.01.01. 시행)

1. 고정기기(Cage 단독사용 또는 Cage와 pedicle screw system 병용사용)를 이용한 척추유합술은 수술 전 1년 이내에 3개월 이상의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임상증상의 호전이 없으며, 영상검사에서 신경근 또는 척수압박이 확인되는 다음의 경우에 인정함. 다만, 수술 직전 6주 이내에 2주 이상의 보존적 치료가 포함되어야 함.

                                        - 다   음 -

 가. 적응증

  1) 신경학적 증상 또는 불안정성이 동반된 척추전방전위증

  2) 임상증상이 동반된 중등도(MRI상 신경공의 perineural fat의 소실이 확인된 경우) 이상      의 추간공협착증

  3) 광범위한 후방감압술(편측 후관절의 전절제 및 양측 후관절의 각 1/2 이상 절제)이 불 

     가피한 다음의 질환

   가) 척추관협착증

   나) 수술 후 재발한 추간판탈출증

  4) 심한 요통이 지속되는 퇴행성 추간판 질환 중

   가) MRI상 퇴행성 변화가 1-2개 분절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뚜렷한 추간 간격 협소가 동

      반되고 추간판조영술(discography)상 병변이 확인된 경우

   나) 분절간 불안정성이 확인된 경우

 

 나. 금기증

  1) 감염성 질환

  2) 이전의 추체간 유합술 부위

  3) 골다공증(T-score≤-2.5):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을 이용하여 중심골[요추(2부위 이상 측정값의 평균), 대퇴

     (Ward's triangle 제외)]에서 측정한 값(Cage 단독사용 시에만 해당)

 

2. 다만, 아래의 가.~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인정함.

 

                                     - 아   래 -

 가. 마미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

 나. 척수병증(Myelopathy)

 다. 진행되는 신경학적 결손(Neurologic Deficit)

 라. 위 1.가.1)~3) 중 하나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급성 추간판탈출증 또는 재발한 추간판탈출증이 동반되고, 적극적인 통증치료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시각 통증 등급(Visual Analogue Scale, VAS) 7 이상의 참기 힘든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

 

3. 위 1., 2.에 의한 기준은 모든 종류의 cage 또는 고정기기 중 Flexible rod system을 이용한 경우 적용함.

 

 4. 보존적 치료의 일반원칙

 

  1) 의료기관을 내원 하여 해당 질환을 임상적으로 진단 받은날을 기산점으로 함

  2) 임상 증상에 따라 진료 의사의 처방을 받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한방치료(추간판 제거술의 경우 자가안정 및 교육 포함/

     추간판 제거술 외의 질환은 자가안정 교육 제외)

  3) 다만, 수술전 6주이내에 보존적 치료 내역이 확인 되어야 함.

  4) 용어 정리 – “적절한 보존적 치료” 로 통일

  5) 확인 방법

    ① 치료 내영 및 기간에 대해 작성된 진료 기록

    ② 타 요양기관의 치료 내역은 해당기관의 진료 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로 확인

 

5. VP/ KP (2025.01.01. 시행)

자47 경피적 척추 성형술(Vertebroplasty) 인정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가. 수술 전 2주 이상의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배통이 지속되는 골다공증성 압박골절로 아래 1), 2)를 모두 충족하는 경우 인정함.

 

                            - 아   래 -

 1) 압박 골절의 확인방법: 가)~다) 중 하나 이상이 확인되어야 함.

  가) MRI 검사에서 증상을 유발하고 있는 병소임이 확인된 경우

  나) CT 검사에서 골절이 확인되고, 방사선 일반영상진단의 비교에서 압박의 진행        이 확인된 경우

  다) 방사선 일반영상진단의 비교에서 진행성 또는 새로 발생한 압박골절임을 분명

     히 관찰할 수 있는 경우

 

 2) 골다공증의 확인방법: 골다공증은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을 이용하여 중심골[요추(2부위 이상 측정값의 평균), 대퇴(Ward's triangle 제외)]에서 측정한 T-score≤-2.5로 확인된 경우

 

나. 종양에 의한 골절

 

다. Kummell's disease

 

라. 다만, 아래의 1)~4)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인정함.

 1) 울혈성심부전

 2) 폐렴

 3) 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환자

 4) 80세 이상인 환자

 

 3) 조기수술 기준

    : 기존 고시 기준에서 조절 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 혈전성 정맥염–제외됨

 

6. 척추변형

 1) 청소년기 특발성 측만증 (나이에 따른 기준 삭제)

   ①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환자 (Risser stage 4 이하)에서 40도 이상의 만곡

   ② 성장이 완료된 환자 (Risser 5)에서 50도 이상의 만곡

 2) 퇴행성 측만증

   ① 척추 고정술의 보존적 치료기간 고시와 동일

   ② 임상적 영상학적 소견을 모두 만족한 경우 인정

     - 영상학적 소견 : ㄱ 또는 ㄴ 의 경우 인정

      ㄱ. 방사선 사진 상 Cobb angle 30도 이상의 측만

      ㄴ. 측만과 동반된 추간공 협착증과 관상면 불균형 5 cm 이상 (C7 plumb line과

          center sacral line 거리)

     - 임상적 측면 : 의무기록상 척추변형으로 인해 보행장애를 포함한 일상생활의 심한 

                    장애와 통증이 있는 경우

 3) 시상면 불균형 : 새로운 협의체에서 9월 중 논의 시작

 

추가 논의

   ➞ 성인 척추 변형은 협의체를 새롭게 구성해서 논의하기로 함.

자세히보기
[오늘하루 그만보기]